본문 바로가기
생활, 건강/건강

식곤증 때문에 힘들다... 밥만 먹으면 졸린 이유는?

by ▤▣▩▒□ 2021. 7. 27.
728x90
반응형

점심시간에 맛있게 밥을 먹고 돌아오면

갑자기 찾아오는 졸음 때문에 괴로운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에요.

 

특히 2~3시 정도에는 진짜 책을 보는데도 졸리고

모니터를 보고 있어도 눈이 감기고 그렇죠ㅠㅠ

 

출처: pixabay

 

식곤증: 음식을 먹은 후 몸이 나른하고 졸음이 오는 증상

 

회사에서 일을 하는 사람이나

학교에서 공부를 하는 사람이나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나

모두가 이 식곤증에서 벗어날 수가 없어요.

 

식곤증이 대체 왜 오는 걸까요?

 

여기저기 찾아보니까 대부분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음식을 먹고 나면 소화를 위해서 혈액이 위장에 몰리게 되어 일시적으로 뇌에 혈액공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게 정확한건 아닌가봐요.

우리 몸에 있는 혈액은 순환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데

밥을 먹는다고 해서 혈액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나타나진 않는다고 합니다.

 

식곤증이 생기는 원인이 몇가지 있는데요. 먼저 '부교감신경계 활성화'입니다.

음식이 몸에 들어오면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고 교감신경계 활성이 줄어든다고 하네요. 이 때 자율신경계 균형의 변화에 의해 몸이 저에너지 상태로 들어가 휴식을 취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졸음이 오는거죠.

 

또 하나는 저혈당증 때문이라고 합니다. 모두가 그런건 아니고 저혈당 증상이 있는 사람이 식곤증을 겪는다고 해요. 식후에 몸에서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돼서 일시적인 저혈당 상태를 만들고 현기증, 피로, 무기력감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저혈당 증세가 있는 분들은 초콜릿 같은 단것을 먹으면 풀린다고 하네요.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원인이 연구되고 있다고 합니다.

 


 

식곤증을 이기는 방법은?

 

과식은 절대 금물!

음식을 많이 먹을수록 부교감신경이 활성화 되어서 더 졸릴 수가 있어요. 종류도 탄수화물보다는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음식이 좋다고 합니다.

 

낮잠자기

저는 보통 일하다가 10분에서 20분 정도 엎드려서 자요. 자고 일어나면 개운해지고 좋더라구요. 그럴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어쩔 수 없지만 가능하다면 최대한 편한 자세로 낮잠을 청해보세요.

 

 

 

카페인 섭취 줄이기!

보통 잠을 깨려고 하거나 각성효과를 얻으려고 커피나 에너지드링크를 많이 드시는데요.

오히려 더 피곤해진다고 합니다. 카페인 음료말고 차라리 물을 드시는게 잠을 이기는데에 효과적이라고 해요.

 

 

 

비타민 섭취

과일, 채소를 많이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밖에서 생활하면 먹기가 쉽지 않겠죠.

그럴때는 영양제로 섭취를 해보세요. 요즘 시중에 비타민 영양제 엄청 잘 나오잖아요.

몸 속 부족한 비타민을 채워주면 식곤증을 이기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식곤증의 노예처럼 매번 잠과 싸우고 있는데요.

잠을 이기려고 버티는 것도 방법이지만

10~20분정도 잠을 받아주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