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직선으로 움직이는 운동에 대한 기본적인 물리학(1차원 운동)
위치와 변위
위치
- 물체의 위치는 어떤 기준점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나타냅니다. 기준점을 원점(0)이라고 할 때 기준점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면 양의방향, 왼쪽으로 향하면 음의방향이 됩니다. 예를 들어 물체가 x = 5m 위치에 있다면 물체는 원점으로부터 5만큼 떨어진 곳에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 x = -5m 위치에 있다면 원점으로부터 음의 방향으로 5m 떨어진 곳에 있다는 뜻입니다.
- 양의 부호는 표기할 필요가 없지만 음의 부호는 반드시 표기해야 합니다.
변위
- 위치 x1에서 다른 위치 x2까지의 거리를 변위라고 합니다. 변위는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Δx=x2−x1
- 변위는 처음 위치와 나중 위치로 결정되므로 실제로 움직인 거리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입자가 x=5m에서 x=200m로 움직였다가 다시 x=5m 위치로 되돌아온다면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의 변위는 Δx=5−5=0 이 됩니다.
- 변위에서 양의 부호는 표기할 필요가 없지만 음의 부호는 반드시 표기해야 합니다. 변위는 방향과 크기를 갖는 벡터량입니다.
평균속도와 평균속력
물리에서는 빠르기를 측정할 때 속도와 속력 두 가지 개념으로 측정합니다.
평균속도
- 평균속도는 특정한 시간간격 동안의 변위의 비율로 나타내고 식을 다음과 같이 씁니다. vavg=ΔxΔt=x2−x1t2−t1
- 여기서 시간 t1일 때 위치는 x1이고 시간 t2일때 위치는 x2입니다. vavg의 단위는 m/s 입니다. 속도는 항상 [길이/시간] 형태입니다.
- 평균속도는 변위와 마찬가지로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량입니다. Δt는 항상 양수이므로 평균속도 vavg의 부호는 변위 Δx와 같은 부호를 가집니다.
평균속력
- 평균속도는 변위를 포함하지만 평균속력은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움직인 전체 거리로 표기합니다. savg=총 거리Δt
- 부호만 뺀다면 평균속도와 평균속력이 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두 값이 전혀 다를 때도 있습니다.
순간속도와 순간속력
순간속도
- 물체가 주어진 순간에 얼마나 빨리 움직이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 순간속도(간단히 속도) v라고 합니다.
- 어느 시점의 순간 속도는 시간간격 Δt가 0에 접근할 때의 평균속도로 구할 수 있습니다. Δt가 점점 작아짐에 따라 평균속도는 극한값으로 접근하게 되는데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v=lim
- 순간속도 v는 시간 t에 대한 x의 미분입니다.
- 어느 순간의 v는 위치-시간 곡선에서 그 순간을 나타내는 점에서의 기울기입니다.
- 순간속도도 벡터량이므로 크기와 방향을 가집니다.
순간속력
- 속력은 속도의 크기입니다. 즉, 속력은 방향을 무시한 속도를 말합니다.(속력과 평균속력은 완전히 다를 수 있습니다.)
가속도
- 물체의 속도가 변할 때 물체는 가속도 운동을 합니다. 한 축을 따라 움직일 때 시간간격 \Delta t 동안 평균가속도 a_{avg}는 다음과 같습니다. a_{avg} = \frac{v_2 - v_1}{t_2 - t_1} = \frac{\Delta v}{\Delta t}
- 순간가속도(간단히 가속도)는 시간에 대한 속도의 미분함수로 다음과 같습니다. a = \frac{dv}{dt}
- 위에 속도에 대한 식과 가속도에 대한 식을 결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frac{dv}{dt} = \frac{d}{dt}(\frac{dx}{dt}) = \frac{d^2x}{dt^2}
등가속도 운동 공식
기본식1
- 가속도가 일정할 때 평균가속도와 순간가속도는 같고 가속도 식을 아래처럼 쓸 수 있습니다. a = a_{avg} = \frac{v - v_0}{t - 0} 여기서 v_0는 시간 t = 0에서의 속도이고 v는 이 이후 시간 t에서의 속도입니다. 이 식은 아래와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v = v_0 + at
기본식2
- 같은 방법으로 평균속도에 대한 식을 다시 쓰면 v_{avg} = \frac{x - x_0}{t - 0} 이 식을 통해서 다음 식을 얻습니다. x = x_0 + v_{avg}t 여기서 x_0는 t = 0에서 물체의 위치이며 v_{avg}는 t = 0과 나중 시간 t 사이의 평균속도입니다.
- t = 0에서 나중 시간 t까지의 평균속도는 시작점 속도와 끝점 속도의 평균값입니다. 평균속도를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v_{avg} = \frac{1}{2}(v_0 + v) 이 식으 기본식1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v_{avg} = v_0 + \frac{1}{2}at 가 됩니다. 이 식을 x에 대한 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 - x_0 = v_0t + \frac{1}{2}at^2
나머지 식
- 위에서 정리한 식들을 활용하여 t를 제거한 식으로 나타내면 v^2 = {v_0}^2 + 2a(x - x_0)
- 가속도 a를 없애면 x - x_0 = \frac{1}{2}(v_0 + v)t
- v_0를 없애면 x - x_0 = vt - \frac{1}{2}at^2
직선운동에서 위치와 변위, 속력과 속도, 가속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등가속도 직선운동에서 운동방정식을 정의해보았습니다.
변위와 가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벡터량이라고 했는데요.
벡터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면 크기와 방향을 좌표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벡터를 이용하여 2차원, 3차원 운동에서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공부 > 과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자 가위가 대체 뭘까? 미래 전망과 문제점 정리 (0) | 2023.11.21 |
---|---|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알 수 없는 입자의 세상 (13) | 2021.08.23 |
뉴턴의 법칙 3가지,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작용 반작용의 법칙 (28) | 2021.08.10 |
1초 1미터 1킬로그램의 정확한 정의 (12) | 2021.08.09 |
수소원자의 에너지는 왜 -13.6eV 일까?(feat.보어의 원자모형) (0) | 2021.07.19 |